반응형

1. 문제

실험실에서 새로운 종의 벌레 한 마리가 탄생하였다. 벌레는 스스로 분열하며, 분열하면 자기 자신과 같은 벌레를 한 마리 만들어 내게 된다. 벌레가 분열하는 규칙은 다음과 같다.

  1. 벌레는 기준년도 1년 2월에 1마리가 탄생한다.
  2. 벌레는 매년 1월이 되면 분열한다. 분열시 본래의 개체는 그대로, 새로운 개체가 하나 탄생하는 것으로 본다.
  3. 홀수년도에 탄생한 개체는 3번 분열시, 짝수년도에 탄생한 개체는 4번 분열시 사망한다.

예를 들어, 기준년도 1년 2월에 존재하던 벌레는, 2년 1월, 3년 1월, 4년 1월에 분열하고 사망하여 4년 말에는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 때, N년 말에 존재하는 벌레의 수를 구하여라.

 

2. 입력

첫째 줄에 자연수 N(1 ≤ N ≤ 20)이 주어진다.

4

 

3. 출력

첫째 줄에 N년 말에 존재하는 벌레의 수를 출력한다.

7

 

4. 코드

import sys

n = int(sys.stdin.readline())
bug = 1
addBugs = [1]
for i in range(1,n+1):
  # 분열된 벌레 추가
  addBugs.append(bug)
  # 분열
  bug = bug * 2
  if i >= 3:
    if i % 2 == 1:
      bug = bug - addBugs[i-3] 
    if i >= 5:
      if i % 2 == 1:
        bug = bug - addBugs[i-4]
# 배열의 마지막 출력
print(addBugs[n])

 

5. 풀이설명

① 입력값 n을 입력받는다.

 

② 추가된 벌레수 bug와 추가될 벌레의 수를 담을 배영 addbugs에 각각 1을 대입하여 선언한다.

 

③ addBugs에 bug를 추가한다.

 

④ bug에 2를 곱한다.

 

⑤ 인덱스 i가 3 이상이고 홀수인 경우 bug에서 addBggs[i-3]을 감소한다.

 

⑥ 인덱스 i가 5 이상이고 홀수인 경우 bug에서 addBggs[i-4]을 감소한다.

 

⑦ addBggs의 마지막 값을 결과값으로 출력한다.

 

6. 느낀점

무난히 푼 문제였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