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제
문제가 잘 풀리지 않을 때,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조금만 다르게 가지면 문제가 쉽게 풀리는 경험을 종종 해 보았을 것이다.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그 중 하나로 우리가 풀고 싶은 문제를 좀 더 쉬운 문제로 바꾸어 풀어 보는 방법이 있다.
소위 "다른 문제로 바꾸어 풀기"라는 이 방법은, 아래와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 풀고자 하는 문제를 다른 문제로 변환한다.
- 변환된 문제의 답을 구한다.
- 구한 답을 원래 문제의 답으로 삼는다.
이를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다음의 초등학교 수학 수준의 예를 들어 보자.
문제 1. "양의 정수 X는 3의 배수인가?"
이 문제를 아래와 같이 변환하는데, X의 각 자리의 수를 단순히 더한 수 Y를 만든다. 예를 들어 X가 1107이었다면, Y는 1+1+0+7=9가 된다. 그리고 Y에 대해서, 아래와 같은 문제를 생각한다.
문제 2. "Y는 3의 배수인가?"
위의 문제 1의 답은 아래의 문제 2의 대답과 일치한다. 위의 예의 경우, Y=9는 3의 배수이므로 X=1107 역시 3의 배수가 되는 것이다. 214는 각 자리수의 합 2+1+4=7이 3의 배수가 아니므로 3의 배수가 아니다.
문제 1을 풀고 싶으면 문제 2로 변환을 해서 문제 2의 답을 문제 1의 답으로 삼으면 된다. 일반적으로 Y는 X보다 크기가 작으므로, 문제 2가 더 쉬운 문제가 된다.
당신이 알고 있는 3의 배수는 한 자리 수밖에 없다고 가정하자. 즉, 문제 변환의 과정을 여러 번 거치다 보면 Y가 한 자리 수가 되는 순간이 있게 되는데, 그렇게 될 때까지 문제 변환을 반복한다는 뜻이다. 변환 후의 Y가 3, 6, 9 중 하나이면 원래의 수 X는 3의 배수이고, Y가 1, 2, 4, 5, 7, 8 중 하나이면 원래의 수 X는 3의 배수가 아니다.
큰 수 X가 주어졌을 때, 앞에서 설명한 문제 변환의 과정을 몇 번 거쳐야 Y가 한 자리 수가 되어, X가 3의 배수인지 아닌지를 알 수 있게 될지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2. 입력
첫째 줄에 큰 자연수 X가 주어진다. X는 1,000,000자리 이하의 수이다. 수는 0으로 시작하지 않는다.
1234567
3. 출력
첫째 줄에 문제 변환의 과정을 몇 번 거쳤는지를 출력한다. 이 수는 음이 아닌 정수가 되어야 한다. 둘째 줄에는 주어진 수가 3의 배수이면 YES, 아니면 NO를 출력한다.
3
NO
4. 코드
import sys
def add(m, i):
data = list(map(int,m))
# 매개변수로 받은 수의 자릿수 합을 구한다.
s = sum(data)
# s가 두 자릿수 이상이면 다시 함수를 호출한다.
if s >= 10:
i += 1
# 재귀함수 호출
add(str(s), i)
# s가 한 자릿수 이면 결과값을 출력한다.
else:
print(i)
if s % 3 == 0:
print("YES")
else:
print("NO")
#
n = sys.stdin.readline().rstrip()
i = 1
# 한자릿수면 계산을 할 필요가 없기에 i에 0 대입
if len(n) == 1:
i = 0
# 함수 호출
add(n, i)
5. 풀이설명
① 입력값이 한자릿수면 계산 반복횟수 i에 0을 대입한다.
② 매개변수로 받은 값을 리스트 자리마다 나눠 각 자릿수드르이 합을 구한다.
③ ②의 결과 s가 10보다 크거나 같으면 i에 1을 더하고 ②의 함수를 재호출한다.
④ ②의 결과 s가 10보다 작으면 계산 횟수 i를 출력하고 s가 3의 배수이면 "YES" 아니면 "NO"를 출력한다.
6. 느낀점
예제보면 보통 while문으로 구현했던데 나는 저번 알고리즘을 참고해서 재귀함수로 구현해봤다.,
'알고리즘 >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현(숫자 정사각형/S4) - 1051번 (0) | 2022.11.18 |
---|---|
구현(팰린드롬 숫자/S5) - 8611번 (0) | 2022.11.17 |
구현(재귀함수가 뭔가요?/S5) - 17478번 (0) | 2022.11.15 |
구현(집합/S5) - 11723번 (0) | 2022.11.15 |
구현(지뢰 찾기/S5) (0) | 2022.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