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제
맥주축제에서 N일 동안 K종류의 맥주를 무료로 제공합니다.
축제에서 참가자들은 하루에 맥주 1병만 받을 수 있고, 이전에 받았던 종류의 맥주는 다시 받을 수 없습니다.
전씨는 이 맥주 축제에 참가해 총 N일 동안 맥주 N병을 마시려 합니다.
하지만 전씨에게는 큰 고민이 있었습니다. 전씨는 맥주를 사랑하지만, 도수가 높은 맥주를 마시면 기절하는 맥주병이 있습니다.
전씨는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천재석사 현씨과 천재박사 승씨에게 자신의 간을 강력하게 만들어달라고 부탁했습니다. 하지만 간을 강력하게 만드는 비용이 너무 비싸서, 전씨는 간을 가능한 한 조금만 강화할 계획을 세웠습니다.
우선, K종류의 맥주에 각각 '선호도'와 '도수 레벨'을 매겼습니다. 선호도는 전씨가 해당 맥주를 얼마나 좋아하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이고, 도수 레벨은 해당 맥주의 도수가 얼마나 강한지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편의상 전씨는 선호도와 도수 레벨을 정수로 매겼습니다.
만약, 마시는 맥주의 도수 레벨이 전씨의 간 레벨보다 높으면 맥주병이 발병해 기절해버리고 맙니다.
또한, 전씨는 맥주병에 걸리지 않으면서도 자신이 좋아하는 맥주를 많이 마시고 싶어합니다. 따라서, 마시는 맥주 N개의 선호도 합이 M이상이 되게 하려 합니다.
세 사람을 대신해 조건을 만족하는 간 레벨의 최솟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주려고 합니다.
세 사람을 도와주세요!
2. 입력
첫 번째 줄에 축제가 열리는 기간 N (1 ≤ N ≤ 200,000) 과, 채워야 하는 선호도의 합 M (1 ≤ M < 231) 과, 마실 수 있는 맥주 종류의 수 K (N ≤ K ≤ 200,000) 가 주어집니다.
다음 K개의 줄에는 1번부터 K번 맥주의 선호도 vi (0 ≤ vi ≤ 10,000) 와 도수 레벨 ci (1 ≤ ci < 231) (vi, ci는 정수) 이 공백을 사이에 두고 주어집니다.
1번부터 K번 맥주의 종류는 모두 다릅니다.
3 9 5
2 5
4 6
3 3
4 3
1 4
1 100 2
99 10
99 10
3. 출력
첫 번째 줄에 주어진 선호도의 합 M을 채우면서 N개의 맥주를 모두 마실 수 있는 간 레벨의 최솟값을 출력합니다.
만약 아무리 레벨을 올려도 조건을 만족시킬 수 없으면 첫 번째 줄에 "-1" 하나만 출력하고 더 이상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아야 합니다.
5
-1
4. 코드
import sys
import heapq
n,m,k = map(int,sys.stdin.readline().split())
beers = []
drinkBeers = []
beerLike = 0
result = -1
for _ in range(k):
v,c = map(int,sys.stdin.readline().split())
beers.append((v,c))
# 도수 레벨이 낮은순으로 정렬
beers.sort(key=lambda x:x[1])
for b in beers:
# 마신 맥주가 행사기간보다 적을때
if len(drinkBeers) < n:
# 힙에 맥주를 추가
heapq.heappush(drinkBeers,b)
beerLike += b[0]
# 마신 맥주가 행사기간과 같을때
if len(drinkBeers) == n:
# 맥주 선호도가 채워짐
if beerLike >= m:
# 도수레벨 결과값으로 도출
result = b[1]
break
# 맥주 선호도가 채워지지 않음
else:
# 선호도가 가장 낮은 맥주 제거
beerLike -= heapq.heappop(drinkBeers)[0]
print(result)
5. 풀이 설명
※ 힙 자료구조를 사용하는것이 팁
① 맥주 선호도와 도수레벨을 배열로 받아 리스트로 저장한다.
② 맥주 리스트를 도수 레벨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③ 힙에 맥주축제 기간만큼 맥주를 추가
④ 추가한 맥주의 선호도 합이 입력받은 m 이상인지 확인
- 맥주 선호도가 m이상인 경우 : 도수레벨을 결과값으로 출력
- 맥주 선호도가 m이하인 경우 : 선호도가 가장 낮은 맥주를 heappop 메소드를 사용하여 제거하고 다시 맥주 추가
5. 느낀점
처음 리스트를 사용해 문제를 풀려하다 실패하고 힙을 사용해야 풀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자료구조 공부를 해야될 듯 하다.
'알고리즘 >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리디알고리즘(2xN 예쁜 타일링/S2) (0) | 2022.11.08 |
---|---|
그리디알고리즘(숫자 놀이/S2) (0) | 2022.11.08 |
그리디알고리즘(민겸수/S2) (0) | 2022.11.06 |
그리디알고리즘(다음수 구하기/S2) (0) | 2022.11.06 |
그리디알고리즘(수들의 합/S5) (0) | 2022.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