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본 내용은 인프런의 데브위키님의 강의 "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네트워크란?

  • 컴퓨터나 기타 장치들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구조
  • 기계와 기계 사이를 랜선이라는 케이블로 물리적으로 연결하고 이 케이블을 이용해 전기신호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IP주소란?

  •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네트워크 장치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고유한 숫자로 IP 주소는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보내고 받는 데 필요하다.
  • IP 주소는 8바이트 3자리 숫자 4개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주소이다.
  • 주소 범위 : 0.0.0.0 ~ 255.255.255.255

예시 1) ping 명령어 : 상대방 서버에 응답이 있는지 확인

# 8.8.8.8 ip 주소를 가진 서버에 응답 요청
ping 8.8.8.8

공인 IP와 사설 IP

공인 IP 주소

  • 인터넷 상에서 전 세계에 공개되어 있는 IP 주소이다.
  • 이 주소는 인터넷 제공업체(ISP)에 의해 할당되며, 고유한 전 세계적인 식별자로서 각 기기나 네트워크를 식별한다.
  • 전 세계적으로 유일한 주소이기 때문에 인터넷에서 중복되지 않는다.

사설 IP 주소

  • 비공개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되는 IP 주소이다.
  •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내부의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된다.
  • 사설 IP 주소는 특정한 IP 주소 대역에 속한다. ex) 192.168.x.x, 10.x.x.x, 172.16.x.x ~ 172.31.x.x
  • 공인 IP 주소와는 달리 인터넷 상에서 직접 접근할 수 없으며, 라우터 혹은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될 때 공인 IP 주소로 변환된다.

그림 1) 공인 IP와 사설 IP

 



그림 2) 공인망과 사설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컴퓨터나 다른 네트워크 장치가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사용되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일부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IP를 할당받고 인터넷에 연결하려면 랜선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되지만 와이파이는 무선으로 사용가능하다.
  •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데이터가 올바르게 전송되도록 관리한다.

포트

  • 포트는 컴퓨터 내에서 프로세스나 서비스가 외부와 통신하기 위해 할당된 숫자
  • 각 프로세스나 서비스는 고유한 포트 번호를 가진다.
  •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고 애플리케이션 간의 통신을 구분하는데 사용된다.
  • 사전에 약속되어 있는 포트들은 Well-Known Port라고 한다. ex) 웹서버 : 80(http), 443(https) / SSH : 22 / FTP : 21

그림 3) 인터페이스와 포트

인바운드 규칙과 아웃바운드 규칙

인바운드 규칙

  • 외부에서 내부로의 트래픽을 관리하는 규칙
  • 예를 들어 웹 서버로의 HTTP 요청을 허용하는 것일 수 있다.

아웃바운드 규칙

  • 내부에서 외부로의 트래픽을 관리하는 규칙
  • 예를 들어 웹 브라우징이나 이메일 전송을 허용하는 것일 수 있다.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 주소 변환 기술 중 하나로 주로 사설 네트워크에서 공인 네트워크와 통신할 때 사용된다.
  • NAT는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내부의 장치가 인터넷에 연결될 때,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변환하여 외부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 NAT는 내부 네트워크의 구조를 외부에 숨기므로, 외부에서 내부 네트워크에 직접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포트포워딩

  • NAT의 기능 중 하나로, 외부에서 내부 네트워크에 있는 특정 포트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 외부에서 접속하려는 포트와 내부 네트워크에서의 대상 포트를 지정한다.

그림 4) NAT

 

그림 5) 포트포워딩

DNS(Domain Name System)란?

  • 인터넷에서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거나 IP 주소를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하는 시스템

예시 2) nslookup : 네트워크 관리 및 진단 도구로, 주로 DNS(Domain Name System)에 관련된 정보를 조회

nslookup google.com

 

그림 6) DNS

반응형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상태없음(Stateless)  (0) 2024.07.19
[Docker] 도커 네트워크  (0) 2024.07.19
[Docker] 애플리케이션 빌드  (0) 2024.07.19
[Docker] 멀티 스테이지 빌드  (0) 2024.07.18
[Docker] 도커파일의 기본 지시어  (0) 2024.07.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