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내용은 인프런의 김영한 님의 강의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IoC (Inversion of Control) - 제어의 역전
기존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 구현 객체가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담당했지만 스프링은 객체 생성과 관리에 대한 제어 권한을 프레임워크로 넘긴다. 따라서 개발자는 객체 생성과 의존 관계 설정에 집중하기보다 비즈니스 로직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 vs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는 내가 작성한 코드를 제어하고 대신 실행하지만 라이브러리는 내가 작성한 코드가 직접 제어의 흐름을 담당한다.
DI (Dependency Injection) - 의존관계 주입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점(런타임)에 외부에서 실제 구현 객체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에 전달,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의존관계가 연결 하는 것을 의존관계 주입이라 한다.
객체 간의 의존 관계를 스프링 컨테이너가 자동으로 관리해주며 개발자는 객체가 필요로 하는 의존성을 직접 생성하거나 찾아주는 것이 아니라, 스프링 컨테이너에 의존성을 요청하면 컨테이너가 이를 자동으로 주입해준다.
클라이언트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 클라이언트가 호출하는 대상의 타입 인스턴스를 변경할 수 있다.
정적인 클래스 의존관계를 그대로 두고, 동적인 객체 인스턴스 의존관계만 쉽게 변경할 수 있기에 객체 간의 결합도를 낮추고 유연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정적인 의존관계 (Static Dependency Injection)
정적인 의존관계는 컴파일 시점에 결정되고 고정된 의존성을 가지는 경우를 말한다. 이는 클래스가 사용하는 import 코드만 보고도 의존관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주로 코드 내에 직접 의존하는 객체를 생성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ex) 클래스 A는 클래스 B에 정적인 의존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는 클래스 A가 클래스 B를 직접 생성하여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public class A {
private B b = new B();
public void doSomething() {
b.doSomething();
}
}
동적인 의존관계 (Dynamic Dependency Injection)
동적인 의존관계는 실행 시점에 의존성을 결정하고 주입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는 외부에서 객체를 생성하고 주입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보통 DI 컨테이너가 동적으로 의존성을 해결한다. DI 컨테이너는 객체의 생성과 의존성 주입을 관리하며, 필요에 따라 의존하는 객체를 변경할 수 있다.
ex) 클래스 A는 생성자를 통해 클래스 B를 주입받아 의존성을 해결하고 있다. 이는 동적인 의존관계를 가지며, 외부에서 생
성된 B 객체를 주입하여 사용한다.
public class A {
private B b;
public A(B b) {
this.b = b;
}
public void doSomething() {
b.doSomething();
}
}
IoC 컨테이너 or DI 컨테이너
스프링의 IoC 컨테이너 or DI 컨테이너는 객체의 생명주기를 관리하고, 객체를 생성하고 의존성을 주입하여 개발자가 비즈니스 로직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스프링의 ApplicationContext를 사용하여 IOC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XML, 애노테이션 또는 Java Config와 같은 설정을 통해 객체의 의존성을 주입할 수 있다.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BeanDefinition (0) | 2023.07.16 |
---|---|
[스프링] 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 (1) | 2023.07.16 |
[스프링] 좋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 (0) | 2023.07.05 |
[스프링] 스프링(Spring)이란? (0) | 2023.07.05 |
JWT 토큰이란? (0) | 2023.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