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문제풀이

그리디알고리즘(박 터트리기/S5)

문승주 2022. 8. 28. 21:56
반응형

 K개의 팀이 박 터트리기 게임을 한다. 각 팀은 하나의 바구니를 가지고 있고, 바구니에 들어있는 공을 던져서 자기 팀의 박을 터트려야 한다.

우리는 게임을 준비하기 위해서, N개의 공을 K개의 바구니에 나눠 담아야 한다. 이때, 게임의 재미를 위해서 바구니에 담기는 공의 개수를 모두 다르게 하고 싶다. 즉, N개의 공을 K개의 바구니에 빠짐없이 나누어 담는데, 각 바구니에는 1개 이상의 공이 있어야 하고, 바구니에 담긴 공의 개수가 모두 달라야 한다.

게임의 불공정함을 줄이기 위해서, 가장 많이 담긴 바구니와 가장 적게 담긴 바구니의 공의 개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담을 것이다.

공을 바구니에 나눠 담기 위한 규칙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N개의 공을 K개의 바구니에 빠짐없이 나누어 담는다.
  2. 각 바구니에는 1개 이상의 공이 들어 있어야 한다.
  3. 각 바구니에 담긴 공의 개수는 모두 달라야 한다.
  4. 가장 많이 담긴 바구니와 가장 적게 담긴 바구니의 공의 개수 차이가 최소가 되어야 한다.

위의 규칙을 모두 만족하며 N개의 공을 K개의 바구니에 나눠 담을 때, 나눠 담을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담을 수 있는 경우에는 가장 많이 담긴 바구니와 가장 적게 담긴 바구니의 공의 개수 차이를 계산해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입력

6 3

- 출력

2

 

○ 내풀이 
- 풀이 실패

 

○ 다른 풀이 

import sys

n, m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 차이가 1씩나는 등차수열의 합
basket = m * (m + 1) // 2
# 등차수열의 합보다 공개수가 작으면 -1을 반환
if n < basket:
    print(-1)
else:
    # 공에서 등차수열의 합을 뺀 값이 n의 배수이면 최소 공의 개수 차이는 nm1이 된다.
    if (n - basket) % m == 0:
        print(m - 1)
    # m의 배수가 아니면 최소 공의 개수 차이는 m가 된다.
    else:
        print(m)

- 등차수열 공식을 사용하여 문제를 풀었다.

 

○ 느낀점

풀이에서 등차수열을 사용할 생각을 못했고 결과값이 바구니 갯수와 바구니 갯수-1로 나온다는 것도 몰랐다.

초등부 문제로 기본적인 수학적 지식을 공부해야 겠다.

 

 

반응형